부산대 치과보존과 박정길, 손성애 교수 Scientific Report(SCIE급) 발표
치아에 금이 가서 시린 이, 방치하면 치아상실로도 이어져

㈜아이오바이오(대표 윤홍철)는 12월 23일 Qray 진단검사장비가 최근 Scientific Report(SCIE급)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통해 치아균열 진단에 임상적 유효성을 주제로 한 논문 발표와 게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Qray 진단검사장비의 기존 사용 목적외에 치아균열 진단 보조 및 진행 여부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이 추가될 수 있어 Qray의 보다 광범위한 사용환경이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 논문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존과 박정길, 손성애 교수가 “균열치아 진단에 대한 정량광형광 장비로 촬영한 이미지의 유효성 및 검사자간 일치도 조사” 논문을 Scientific Report(SCIE급)에 게재했다. 이 논문은 균열치아에 대한 정량광형광 장비 사용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사전 승인을 확보한 후 진행된 임상연구로 치아 균열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균열치아를 대상으로 촬영한 형광 이미지를 사용할 때 치아 균열선 위치에 대한 두 관찰자간 일치도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치아균열의 위치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형광 이미지는 일반 이미지 단독으로 제시되었을 경우보다 균열선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유용하고 검사자간 일치도를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형광 이미지는 균열선의 위치적 정보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입증되었고 균열치아에 대한 진단검사장비로 활용을 시사하였다.

치아에 금이 가는 치아균열은 이가 시리는 정도로 증상은 가볍지만 방치할 경우 치아파절이나 치수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잠재적 질병부담을 억제하고 자연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과 관리가 핵심적이다. 방치하면 균열이 깊어질 수 있고 세균이 침투해 치수염을 일으킬 수 있다. 적기에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뿌리까지 염증이 번지게 된다면 치료 시기를 놓쳐 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는 2023년 하반기부터 치아균열 조기 진단방법에 대한 정책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연구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사전 조사를 통해서 신의료기술평가 완료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 항목으로 등재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근관치료는 건강보험 진료환자 발생이 많은 상위 질병에 대한 '다빈도질병 통계' 에서 의과 포함 전체 외래 진료 중 2023년 19위, 2022년 18위, 2021년 1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치아균열 치료가 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효과가 커질 수 있는 질병이다.
아이오바이오는 치아에 가시광선을 쏘아 반사되는 빛을 실시간 확인해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치아 병소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생체광형광검사를 할 수 있는 의료기기를 국내와 해외에 공급하고 있다.
윤홍철 대표는 “치아균열 진단을 위한 신의료기술평가 과정을 통해 치아우식에 더해 치아균열로 적용 질환이 확대”될 전망이고, “미국에서는 2024년 9월에 FDA의료기기 2등급 품목허가를 확보하고 컨설팅사와 판매사와 함께 시장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량광형광기를 이용한 치아우식증 검사법은 국내에서 2018년 신의료기술평가를 완료하고, 2021년 6월부터 국민건강보험의 수가를 받는 의료행위로 인정받아 치과 의료기관에서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번 Scientific Report에 발표된 연구 논문은 식약처 사전 승인후 진행된 임상연구로 Qray의 사용목적에 치아균열 진단 보조 및 진행여부 관찰 기기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어 국내외 개원가에서 Qray의 사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