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회원들 많이 참석, 향후 연구역량 키워야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회장 이부규)가 3월 15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승산강의실에서 제2회 융합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부규 회장은 “대한구강악안면외과와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가 작년에 이어 제2회 융합 워크숍을 개최하게 됐다”라며 “구강악안면외과는 구강 및 악(턱) 안면 분야의 외상, 구강암, 기형을 치료할 뿐 아니라 치조골, 턱, 얼굴부위의 연조직, 경조직의 재건을 전문으로 하는 분야로 보다 완벽한 결과를 위한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이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강연 Ⅰ은 <Tissue engineer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이란 소주제로 전상호 교수(고려대학교)가 ‘임상적 투약경로를 반영한 타액선 질환 융복합 치료제 개발 연구’강의를 진행했다.
이어 김진우 교수(이화여자대학교)가 ‘점막괴사 치료 오가노이드 개발 및 약물괴사 악골 괴사증에 대하여 Dimeric R25CPTH & 멀티오믹스 바이오마커 발굴’ 강의를, 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가 ‘ Bone regeneration strategies with new BMP delivery system’이란 제목으로 강의했다.
강연 Ⅱ는 <Advanced biomaterials/techniques in tissue engineering>을 소주제로 신흥수 교수(한양대학교)가 ‘Biomaterials-based engineering vascularized tissue in regenerative medicine’강의를, 이수홍 교수(동국대학교)가 ‘Mass production and engineering of stem cell membrane-based nanovesicle for cartilage tissue regeneration’강의를 진행했다.

강연 Ⅲ는 <Strategies for collaboration between OMFS and TERM>을 소주제로 팽준영 교수(삼성서울병원)가 ‘조직공학아 이거 해결해 줄 수 있니(1)’, 박수아 박사(한국기계연구원)가 ‘구강악안면외과야 내가 도와줄께(1)’를 진행했다. 이어 황대석 교수(부산대학교)가 ‘조직공학아 이거 해결해 줄 수 있니(2)’, 양승윤 교수(부산대학교)가 ‘구강악안면외과야 내가 도와줄께(2)’를 강의했다.
오후에 열린 간담회에서 이부규 회장은 “이번 워크숍은 난제 극복을 위해 준비했으며 젊은 회원들이 많이 참석했다”라며 “이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임상의도 연구역량을 키우고, 조직공학자들도 적극적으로 임상의와 협력을 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라고 강조했다.
김병수 서울대 교수(전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장)는 “조직공학은 난치병이 큰 이슈인데 두 학회 간 공동연구를 통해 협업하고 있다”며 “한국의 조직공학재생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국내의 경우 조직공학재생관련 규제가 심해 임상 진입이 힘든 편”이라며 “특히 조직공학재생은 치유가 기본 능력으로 젊은 회원들이 이 분야에 많이 들어와서 더욱 발전했으며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