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1-03 17:14 (금)
알리의 역습, 치과시장도 자유롭지 못한 중국 직구 열풍
상태바
알리의 역습, 치과시장도 자유롭지 못한 중국 직구 열풍
  • 최윤주 기자
  • 승인 2024.02.28 2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해외직구, 가성비 앞세워 ‘박리다매’ 공략
품질 확인 어렵고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 없이 개인통관
소비자는 물론 환자 피해 우려도

 

 

“최근 기자재 주문이 급감해 확인해보니 국내에 진출한 중국 쇼핑몰에서 저가의 제품을 구매한 고객들을 심심찮게 만난다. 품질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당분간 중국직구로 인해 매출 타격은 불가피할 것 같다.” 한 치과기자재 업체가 토로한 내용이다.


작년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한 중국 직구 쇼핑몰에서 치과의료기기와 치과기자재들이 대거 등장해 국내 소비재 시장에 이어 치과유통시장에서도 중국직구로 인한 가격 파괴와 불법 의료기기 유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내 일부 개원가와 치과기공소에서 직구 주문이 진행되는 대표 쇼핑몰은 중국 알x익스프레스와 테x등으로 일반 소비재에서 시작된 중국 직구 열풍이 치과계에도 본격적인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직구몰에 다양한 치과기자재 정품과 유사품이 혼재되어 있다

 

국내 쇼핑앱은 2023년 12월 사용자수 기준으로 1위 쿠팡(2,728만 명), 2위 11번가(744만 명)에 이어 알리익스프레스(396만 명)와 테무(328만 명)등이 상위 3위와 6위에 올랐으며, 지난 2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각각 560만 9천 405명과 459만 1천 49명으로 쇼핑 부문 4위와 6위를 기록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들 쇼핑몰중 특히 중국 쇼핑몰은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실제 이들 중국 쇼핑몰에서 ‘임플란트’를 조회하니 임플란트 64,000개, 임플란트 가이드키트 4,200개, 임플란트 드라이버 5,700개, 핸드피스는 13,000개 상품이 게시된 것으로 표시된다.

이들중 상당수는 진품이 아닌 가품이며, 일부 진품의 경우는 유통망을 통해 흘러나온 것으로 가격은 시중가의 절반 이상의 할인표시를 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직구를 통한 치과의료기기와 기자재 주문은 국내 일부 치과와 치과기공소에서 개인주문 처리 방식으로 정식 인허가 절차 없이 거주지 등으로 배송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직구로 구입한 품목도 치과 임플란트 기자재에서 핸드피스, 지르코니아 블록, 파우더, 버, 각종 진료 기구류 등 다양하다. 구매자들은 일단 품질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문 후 사용하면서 가성비 만족을 앞세워 주기적인 개인통관부호 방식으로 주문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국내에서 인기를 끄는 것은 현저히 값이 싼 일반 공산품을 대거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며 의료기기 역시 각종 기자재 소모품들을 중국내 제조사 및 대리점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대거 온라인에 올려놓고 판촉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 대부분 제품은 국내에서 직구시 인허가 없이 불법으로 국내 유통될 우려가 있으며, 실제 중국 전시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저품질 제품들도 식별하기 어려운 온라인 화면에 올려놓아 품질을 확인할 수 없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대부분의 의료기기는 국내 식약처의 인허가 과정을 거쳐 수입통관 및 유통과정을 거쳐야 하나, 쇼핑몰에 올라있는 의료기기들은 이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불법적으로 유통, 사용될 가능성이 있어 이로 인한 환자 피해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뿐 아니라 미국 등 전 세계적인 중국 쇼핑몰의 공격적인 마케팅 및 진출 공략과 궤를 같이 한다. 중국 정부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주도하에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물류비용을 낮추면서 전 세계 최강급 물류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실제 이 같이 강화된 물류 기반을 바탕으로 저가의 중국 제품은 전 세계 온라인 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이제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도 치과기자재까지 중국 저가 의료기기 품목 노출과 거의 비용부담이 없는 중국 직구의 물류 공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시장은 이 같이 무방비로 개방된 반면, 중국에서는 의료기기나 미용기자재등 외국 제품을 직구할 경우 중국 정부의 사전 인증을 받아야 통관 허용이 가능한 시스템이어서 일각에서는 국가적인 무역 교류 면에서도 상대적인 불균형이 지적되고 있다.

식약처는 해외 직구로 인한 불법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감시와 알림 활동을 강화해나갈 예정임을 밝힌바 있어 이 같은 해외직구로 의료기기를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개인별 통관으로 진행되는 해외직구의 실질적인 관리 감독은 쉽지 않아 보여 당분간 중국 직구로 인한 시장내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