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부착물 접착 임상 활용법 소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원이 주최하는 이기준 교수(연세치대)의 ‘교정의 신경향 VFO’ 주제 세미나가 3월 15일 GC KOREA 덴탈컬리지에서 열린다.
이번 강연은 임상교정의 최신 교정술식과 디지털 시대의 변화된 접착제의 최신 경향 및 적용법도 다룰 예정이다. 또한 최근 교정용 레진의 출시로 치과 임상에서 진행 중인 교정진료의 변화도 함께 살펴본다.
실제 임상교정에서 접착제의 역할은 부착하는 것에 국한됐지만, 최신 교정술식은 브라켓 외 다양한 기능성 부착물과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개별화 장치, 그리고 치아 이동뿐 아니라 주위 근기능의 조절을 필요로하는 직접 부착물의 접착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토대로 실제 임상에서의 활용을 살펴볼 예정이다.
이기준 교수는 “최근 협조도가 부족한 초저연령환자, 심한 치주 문제를 가진 중장년 환자, 또한 근기능과 관련한 재발군에서의 재치료 환자 등 교정환자군의 확대 추세에 맞춰 다양한 능동/수동적 장치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한 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이러한 최신 장치의 적용방법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참가자가 직접 디지털 제작 혹은 수제작된 장치를 적용하는 술식을 핸즈온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의는 △임상적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VFO-Self etch ing primer vs Separate etching process Microtube application △디지털 교정을 위한 VFO-CAD/CAM fabricated appliance를 위한 VFO CNC appliance를 위한 VFO △성장기 아동을 위한 VFO-Teardrop archwire를 위한 VFO DB ribbonarch를 위한 VFO △VFO 핸즈온 실습-Bonding practice/3D milled appliance/CNC appliance/Ribbon arch △치주악화/치근 흡수 상황을 위한 VFO-Segment archwire △근기능 조절을 위한 VFO-MFT, 가장 간단히 될 수 있는가? DB spur demonstration를 주제로 진행된다.
세미나는 교정 경험이 있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인구 수의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교정치료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6세 미만의 초저연령대에서 협조도가 불필요한 CAD/CAM장치의 적용, 치주질환과 치근 흡수 등 위험요소를 가진 중장년 환자에서의 교정치료, 그리고 재발과 회귀에 의한 재치료 수요가 상당히 늘고 있는 상황등으로 브라켓과 와이어를 이용한 기존의 교정 방식에서 탈피하여 환자 개개인에서 특성화된 치료 기법으로 임상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이 교수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임상변화에 대한 증례와 시연을 진행해 임상가들의 이해를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