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02 10:00 (수)
[DASS 임상특강] 9. 즉시 로딩을 위한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과 연조직 재형성
상태바
[DASS 임상특강] 9. 즉시 로딩을 위한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과 연조직 재형성
  • 장호열 원장
  • 승인 2024.11.29 17: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특강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시리즈 with DASS ⑨
장호열 원장 (장호열치과)

 

 

개원가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선보이며 임상 적용에서도 다양한 접근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덴탈아리랑은 임상을 연구하는 모임인 DASS와 함께 개원가를 위한 디지털 덴티스트리 특별임상 시리즈를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복원하는 가장 대중적인 치료이며,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의 핵심은 골유착(osseointegration)이다.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 간의 안정적인 결합은 장기적인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임플란트 표면 처리 기술의 발전은 골유착 과정을 가속화하고 초기 안정성을 향상시켜 임플란트 즉시로딩(immediate loading)의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즉시로딩(Immediate Loading) 방식은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식립 후 1주일 이내에 보철물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전통적 임플란트 로딩 방식의 긴 회복 시간을 줄여 환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번 임상 기고에서는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최신 경향과 필요조건, 보철 시스템, 장점 및 연조직 재형성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안정성
최근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8년 ITI 컨퍼런스에서는 임플란트 즉시로딩이 적응증과 주의사항을 잘 지켜서 시행될 경우 임상적으로 안전하며 의미 있는 술식이라 분류하였다<Fig 1>.

 

 

최근 임플란트 표면 처리 기술의 발전은 골유착 과정을 가속화하고 초기 안정성을 향상시켜 임플란트 즉시로딩(immediate loading)의 가능성을 높였다.

초기의 임플란트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는 골유착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표면의 거칠기와 미세 다공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발전되고 있으며 거칠어진 표면은 골세포의 부착을 촉진하여 골유착 시간을 단축시킨다.

최근에는 SLA나 HA 코팅 등의 수준을 넘어서 나노 입자를 활용한 표면 처리나 플라즈마 조사 등으로 임플란트 표면적을 극대화하고 골세포와 성장인자의 부착과 증식을 촉진한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도 즉시로딩을 뒷받침하고 있다. 디지털 스캔 및 3D 프린팅을 활용한 가이드 수술은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어 즉시로딩의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특히 수술 직후 디지털 스캔을 통해 인상을 채득하고 CAD/CAM을 통해 맞춤형 보철물을 빠르게 제작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임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2. 임플란트 즉시로딩을 위한 필요조건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골밀도, 골질 그리고 골결손부 형태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임플란트를 식립할 부위의 치조골이 건강하고 양호할 때 초기 안정성이 확보되며, 이를 위해 술전 CT 촬영을 통해 수술 부위의 치조골의 분석이 중요하다.

둘째,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이 매우 중요하다. 즉시로딩을 위해서는 최소한 35N㎝의 토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시 골질이나 뼈의 형태를 잘 인지하고 정확한 드릴링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 시 높은 초기 고정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함께, 환자의 전반적인 구강 상태와 전신 건강 상태 또한 즉시로딩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흡연 여부와 치주 건강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을 사전에 평가하여야 한다.

 

3. 임플란트 즉시로딩을 위한 보철 시스템
즉시로딩의 성공을 위해 적절한 보철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필수적이다. 최근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보철물의 강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보철물의 장착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빠르게 환자의 기능 회복을 돕는다. 보철 방식 중에서는 스크류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을 선호하며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Fig 2>.

 

 

하이니스 임플란트 보철은 인상 채득, CAD 디자인, 3D 프린팅이 용이하며 응력분산 효과가 뛰어난 장점 때문에 즉시 로딩 케이스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Fig 3>. 또한 25도까지 경사진 스크류 홀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식립 각도가 제한적인 전치부에서도 스크류 유지형 보철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Fig 4>.

 

 

즉시로딩 후 임플란트에 과도한 교합 하중이나 측방력이 발생할 경우 임플란트 골유착 실패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교합을 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연조직과 치조골의 건강한 치유를 돕고,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4.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장점
임플란트 즉시로딩은 환자와 임상의 모두에게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치료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 전통적인 로딩 방식에서는 수개월간의 회복 시간이 필요했지만, 즉시로딩을 통해 빠르게 기능을 회복할 수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 복귀가 용이하다.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여 치료 기간 중에도 결손부의 심미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전치부에서 큰 효과를 발휘하여 환자의 심리적 만족도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5. 임플란트 즉시로딩을 통한 연조직 재형성
임플란트 즉시로딩은 연조직의 재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조직이 임플란트 임시 보철물 주변에 조기에 안정적으로 부착하면서, 치조골과 임플란트의 결합을 더욱 촉진한다. 초기 하중을 통한 자극으로 혈관 신생이 활발하게 일어나 치유 과정이 빨라지고,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밀착도가 개선된다.

심미성이 많이 요구되는 전치부 임플란트 시술 후 즉시로딩을 하지 않거나 가철성 임시보철물을 사용할 경우 치간유두의 퇴축이나 소실을 경험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한 뒤 퇴축된 연조직을 재건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쉽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에 임플란트 식립 직후 즉시로딩을 시행하면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재형성되면서 심미적인 면에서도 자연스럽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치아와 유사한 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임시 보철물을 통해 연조직이 이상적인 형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최종 보철물 제작전까지 지속적인 임시보철물의 형태 수정을 통해 퇴축된 치간유두의 재건도 가능하다.

 

6. 임상 증례
72세 남성 환자로 상악 전치부 old bridge의 파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치료를 위해 #13 크라운 수복, #12-23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임플란트 즉시 식립 시 가능한 atraumatic extraction을 시행하는 것이 경조직과 연조직 치유에 유리하다. 술전 제작된 surgical guide를 활용하여 계획한 위치와 방향으로 임플란트 드릴링을 시행하였다. 절개 없이 임플란트 드릴을 식립구에 삽입한 뒤 주변으로 골이식재를 삽입하는 minimally invasive socket graft를 시행하였다. 드릴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뒤 #12, 23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35Ncm 이상의 초기 고정을 얻을 수 있었다. 수술 즉시 인상 채득을 위해 하이니스 스캔 바디를 연결한 뒤 봉합을 시행하였다<Fig 5>.

 


구강스캐너로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고, CAD에서 연조직 재형성을 고려한 형태로 하이니스 임플란트 보철물을 디자인하였다. 3D 프린팅을 위해 서포트 배치와 모델 슬라이싱을 시행하였다. 3D 프린터로 출력된 스크류 유지형 하이니스 보철물을 수술 당일 장착하였다<Fig 6>.

 

 

3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임시 보철물의 수정을 시행하였고 최종 인상에 적합한 연조직 형태로 재형성할 수 있었다. 최종 인상 채득 후 CAD 작업을 통해 풀지르코니아 하이니스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스크류 유지형 보철물이기에 간편하게 구강내에 장착되었고 보철물과 연조직 형태적인 측면에서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Fig 7>. 파노라마 및 CT 상에서도 잘 재건된 치조골과 골유착된 임플란트를 관찰할 수 있었다<Fig 8>.

 

 

 

결론
임플란트 즉시로딩은 환자에게 빠른 기능 회복과 심미적 만족을 제공하는 동시에 임상의에게도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임플란트 디자인과 디지털 기술, 보철 시스템의 발전을 통해 임플란트 즉시로딩의 성공률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적절한 조건을 충족하는 환자에게는 효과적이고 심미적인 치료 솔루션이 될 수 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임상 데이터 축적을 통해 즉시로딩의 적용 범위와 성공률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