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특강] 디지털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Relapse 치료
박서정 원장의 교정 노하우 - 투명교정 치료 ⑬
2급 부정교합을 가진 15세 남학생이 내원하였다. 안모상으로도 상순과 하순의 돌출이 눈에 띄었고 Reverse Smile Line, 턱 근육의 과도한 수축이 보였다<Fig. 1>.
구강 내 사진에서는 상당히 좁고 긴 상악궁에 비해 하악궁은 비교적 정상이었고 견치 및 구치 관계는 뚜렷하게 2급이었으며 중절치 부위의 큰 Overjet에 비해 구치부는 Edge Bite였다. 또한, 상악 전치부의 치은염이 있었다<Fig. 2>.
Brachycephalic Face Type으로 악궁의 폭을 유지하는 것이 심미적으로 좋을 것으로 판단되어 상악 소구치 2개만 발치하고 통상적인 Bracketing으로 교정을 진행하였다. 약 17.5개월 만에 교정 치료가 마무리되었을 때 안모는 상당히 개선이 되었고 스마일 라인도 만족스러워졌다<Fig. 3>.
계획했던 것처럼 Buccal Corridor가 생기지 않아서 환자의 안모와 스마일라인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환자의 구강위생 상태가 좋지 않아 치은염으로 출혈이 빈번했고 구치부에 우식증이 빈발한데다 환자의 원거리 이사로 치료를 좀 서둘러 마무리한 것이었다<Fig. 4>.
약 4년 후 환자가 재내원하였을 때 프로필은 그런대로 유지되고 있었지만, 구호흡에 적절한 폐구가 아직 습관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Fig. 5>.
구강 내를 살펴보면 슬슬 정중이개가 생기고 있었고 상하악 전치부의 회전, 부적절한 Overjet과 Overbite, 전치부의 Edge Bite, 상악궁의 변화 등이 나타나 있었다<Fig. 6>.
투명교정 장치를 디자인하고 제작해 Relapse를 해결하기로 하였다. 10개의 장치로 약 5개월간 치료를 마무리하면서 구호흡을 개선하였을 때 환자의 안모와 스마일은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Fig. 7>.
구강 내 사진에서 보면 존재했던 문제들이 잘 해결된 것을 볼 수 있다<Fig. 8>.
약 2년이 지났을 때 환자의 성장이 좋은 방향으로 이뤄지면서 교정치료 후 결과도 잘 유지되고 있었다<Fig.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