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cess Flap Surgery
지난 연재에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수술적 접근 시 골파괴 형태를 잘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했다. 이번 편에는 골벽 형태에 따른 수술적 접근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 Access Flap Surgery 와 관련해 많이 인용되고 있는 논문을 소개한다.
Leonhardt et al. (2003), Five-Year Clinical, Microbiolog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Following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in Man. Journal of Periodontology, 74: 10, 1415-1422
임플란트 주위염의 수술법
임플란트 주위염의 수술법은 크게 접근 판막 수술법(Access Flap Surgery), 절제형 수술법(Resective Surgery) 그리고 재생형 수술법 (Regenerative Surgery)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접근 판막 수술법은 임플란트 주위 판막을 열어 염증조직 및 국소 인자를 제거하고 임플란트 주위 표면을 소독한 후 봉합하는 방법이고, 절제형 수술법은 임플란트 주위염에 이환된 부위의 골조직 부분을 다듬어 재형성(Re-Contouring) 해주는 것을 말한다. 재생형 수술법은 골벽이 유지되고 있는 부위에 골이식재, 차폐막 등을 이식하여 골재생을 유도하는 수술방법이다.
접근 판막 수술법 (Access Flap Surgery) 의 임상 예
필자는 접근 판막 수술법은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치주낭 깊이를 많이 줄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논문에서의 수술 결과
전체 임플란트 주위염 중 58% 정도에서 치유가 이루어졌다고 했다. 7개의 임플란트는 제거됐고, 19개 임플란트 주위염 부위 중 4개 부위에서는 지속적인 골소실이 일어났다고 했다. 반면 6개의 임플란트 부위에서는 골이 증가했다고 했다.
치은 출혈은 100%에서 5%로 감소했다고 하고 있다.
한 환자에서만 임플란트 2개를 제거했고, 2개는 지속적인 골소실이 있었다는 점도 특이 사항으로 보고됐다. 26개 중 4개(15%)가 한 사람에게서 지속적인 문제를 일으켰다는 점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 효과에 있어서 개인적인 특성도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부분은 구강 위생 관리 능력이나 유전적인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봐야 할 것이다.
고려 사항
흥미롭게도 2012년 Heitz-Mayeld 등도 임플란트 주위염 환자들에 대해 접근 판막 수술법으로 치료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12개월까지 100% 생존했다고 했다. 반면 Leonhardt 등의 논문에서는 5년간 전체 임플란트 주위염 중 58% 정도에서 치유가 이뤄졌다고 했다.
무엇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일까? 임플란트의 종류, 표면 소독 방법, 항생제 요법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봐야겠으나, 아무래도 두 논문의 결과 차이는 Follow up 기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가 아닐까 싶다. 근본적으로 치주낭 깊이를 줄여주지 못한다면 장기적 예후는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수술 결과를 평가하는 항목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생존율’을 치료 결과로 제시한 Heitz-Mayeld 보다는 ‘방사선학적 골변화’를 제시한 Leonhardt 등의 결과가 수치상으로는 좀 더 낮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치주낭 깊이를 줄여주는 술식, 즉 절제형 수술과 재생형 수술에 대해서는 다음 연재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접근 판막 수술법은 이런 경우에 시행합시다.
1. 심미적인 위치의 임플란트에서 비외과적 치료만으로 어려운 경우
2. 크지 않은 골 결손 부위
3. 구강 위생 관리 능력이 우수한 환자